척골신경포착증후군
척골신경포착증후군
네 번째, 다섯 번째 손가락과 손날 부위가 저릿하거나 어둔한 느낌, 화끈거리는 증상 등이 팔을 오래 구부리고 있을 때 더 심해진다면 척골신경포착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척골신경은 경추에서 나와 팔꿈치와 손목을 지나 손으로 이어지는 신경으로 손가락의 감각과 근육의 움직임을 조절하는데, 이 신경이 팔꿈치 내측상과 또는 손목의 척골관(Ulnar canal)에서 압박되거나 손상이 되어 통증이나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척골신경포착증후군입니다.
척골신경포착증후군은 척골신경이 눌리는 위치에 따라 크게 주관증후군(Cubital tunnel syndrome), 척골관증후군(Ulnar canal syndrome)으로 나뉘어집니다.
주관증후군(Cubital tunnel syndrome)은 팔꿈치 내측상과의 좁아진 주관을 지나는 척골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며, 팔꿈치 안쪽에 통증이 있을 수 있고, 팔뚝 안쪽을 지나 4,5번째 손가락까지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질 수 있습니다. 주로 팔을 구부릴때 더 심해지며, 밤에 잠을 잘 때 팔꿈치를 구부린 자세로 인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진행이 됨에 따라 손의 힘이 빠지거나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이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주로 팔꿈치를 구부리고 장시간 턱을 괴거나 책상에서 PC를 사용하면서 책상에 오래 팔을 대고 있는 경우, 장시간 핸드폰을 들고 통화할 때, 팔베개를 하고 잘 때 등과 같이 오랜 시간 팔꿈치가 굽혀 있거나 눌렸을 때 발생하며, 이외에도 팔꿈치 외상 및 골절후유증, 선천적으로 주관터널이 좁거나 팔꿈치 변형이 있는 경우, 류마티스 관절염 등으로 신경주위 조직이 부은 경우,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척골관증후군(ulnar canal syndrome), 기욘관증후군(Guyon's canal syndrome)은 손으로 뻗어가는 척골신경이 손목의 약지 쪽에 위치한 기욘관(척골관)을 통과하면서 압박될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4,5번째 손가락에만 증상이 나타나며, 간혹 손바닥에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로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이 오랜 시간 손목을 꺽은 채로 손바닥을 누르는 자세나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하는 등 압박의 영향이 가장 크고, 이외에도 골절이나 과도한 사용, 갑작스런 체중 증가, 임신, 류마티스 관절염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관증후군도 마찬가지지만, 밤에 통증이 심해지는 야간통이 특징이며, 증상이 오래될 경우 운동신경과 근육에 영향을 미쳐 손가락이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지기도 합니다.
팔을 어깨에 놓고 팔꿈치를 1-2분간 구부린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통증과 저림증이 유발될 때 의심할 수 있으며 또는 척골신경이 지나가는 팔꿈치나 손목의 신경을 손가락으로 눌러보거나 가볍게 타진하여 손가락의 통증이나 저림증이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신경타진 검사를 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틴넬 지후(Tinel's sign)이라고 합니다. 확진검사로는 근전도 및 신경전도 검사를 통해 팔꿈치나 손목 부위에 신경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습니다.
근전도 및 신경전도 검사에서 그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먼저 보존적인 치료로 팔꿈치를 너무 많이 구부리는 행동을 피하고, 스마트폰, 마우스 사용 시 손목보호대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로는 소염진통제나 스테로이드 등을 통해 염증을 줄이고 신경의 압박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로 효과가 없거나 근전도 및 신경전도 검사에서 심한 신경손상이 보일 경우 신경의 압박을 풀어주는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