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저림
손발저림
손발저림(numbness)은 의학적으로 정의하기 어렵지만, 손과 발이 쩌릿쩌릿하고 움직이면 간지럽기도 하고 통증을 수반하는 현상을 통칭하는 증상입니다. 손발 저림은 많은 사람에게 비교적 흔히 관찰되는 증상이나, 대수롭지 않다고 넘기면 잠도 오지 않을 만큼 심해지기도 해 일상생활을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손발저림이 생기는 가장 흔한 원인은 말초신경병입니다. 뇌와 척수를 중추신경, 척수에서부터 갈라져 나오는 가느다란 신경부터 말초신경이라고 하는데, 말초신경은 ‘신경공’이라고 불리는 척추뼈 사이 작은 구멍을 통해 뼈 밖으로 나와서 팔·다리·몸통 등 온몸에 넓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능에 따라 운동·감각·자율신경 세 가지로 구분되며, 손발 저림은 이 중에 감각신경이 손상될 때 발생합니다. 만약 운동신경이 손상되면 힘이 빠지고 근육이 마를 수 있으며, 자율신경이 손상되면 땀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되거나 대·소변 기능의 장애, 어지럼증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병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특히 목과 허리 부위에 있는 말초신경의 손상이 흔하게 발생합니다. 목과 허리는 평소 움직임이 잦으므로 경추와 요추도 연결된 관절을 통해 지속적으로 움직여지게 되는데, 이런 움직임에 의해 척추뼈 사이 구멍에 지나가는 신경뿌리가 지속적인 압박을 받으면서 손상이 되는데 이를 ‘신경뿌리병’ 이라고 지칭하며, 손발 저림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외에도 손목터널증후군 등과 같이 특정구간에서 신경이 눌리는 압박신경병증과 당뇨, 갑상선기능저하증, 만성신부전 등으로 인한 말초신경병증 등도 흔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병을 진단하려면 먼저 환자의 증상과 병력이 신경증상에 맞는지 확인하고 신체 진찰을 통해서 신경질환 및 관절이나 근육질환 등 다른 질환을 감별해야합니다. 그 결과 신경의 이상이 의심된다면 신경전도검사, 근전도검사같은 전기생리검사를 하고, 혈액검사를 통해서 혈당측정,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호르몬검사 등을 할 수 있고, 척추 MRI와 같은 영상진단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손발저림에 대한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고, 원인을 치료하거나 증상 완화 치료를 통해 손발저림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손발저림은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지만 원인에 따라 발생 빈도와 심한 정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되도록 손발의 반복적인 움직임을 피하고, 반복적인 움직임이 꼭 필요하다면 사이에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으며 당뇨병 등 손발저림을 유발할 수 있는 만성질환이 있다면 해당 질환을 적극적으로 치료하면서 신경병이 합병증으로 발생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